공지사항

2020년 2학기 과학기술학 연계전공 개설과목 안내

작성자
김가환
작성일
2020-07-23
조회
4152
M2888.000300 과학기술과 환경 (담당교수 : 황점식, 화/목 12:30~13:45, 500-L309)


 


이 과목은 과학기술과 환경에 대한 상호작용을 다학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우선 과학기술의 발달이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사용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여러 학문적인 작업과 역사적, 사회학적, 정책적 연구들을 살펴볼 것이다. 수업에 다루어질 주제로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생태적 위기의 기원과 과학기술, 자연의 산업적 이용과 자본주의의 성장, 그리고 전 지구적 환경위기의 기원과 현황 등이 될 것이다.


 


M2888.000400 과학커뮤니케이션 (담당교수 : 문지호, 목 14:00~16:50, 500-L309)


 


이 과목은 과학언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이 실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어, 과학과 그 응용분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아주 많다. 그러나 시민 스스로 과학 분야의 새로운 변화나 진보를 알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언론이다. 과학이 정치, 경제, 사회 등 다른 분야와 구별되는 차이 중 하나는 재연성이다. 이는 예측 가능성과도 관련이 있다. 한 과학자의 주장은 다른 과학자의 재연 또는 검증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처럼 과학이 여타 분야와 다른 만큼, 과학언론에 대한 요구도 차이점이 있다. 이 과목을 통해서 과학언론의 특징 및 과학언론 연구의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후반부에서는 과학, 기술과 관련된 지식의 효과적인 전달에 대해, 특히 21세기에 떠오르는 새로운 매체와 테크놀로지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뉴스란 무엇이며, 이를 전문으로 하는 기자란 무엇인가? 일반기자와 구분되는 과학기자의 차이는 무엇인지 고찰한 후, 실제 취재와 작문을 통해 이를 실습해 볼 것이다.


 


M2888.000500 과학기술과 연구윤리 (담당교수 : 임소연, 월 14:00~16:50, 500-L304)


 


최근 국내외에서 일련의 연구부정이 의문시되면서 과학기술에 있어서의 연구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연구윤리는 연구수행의 기본이 됨과 동시에 그 연구의 진실성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 학생 및 연구자를 포함한 모든 학계의 구성원들에게 있어 연구행위의 기본전제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수업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째, 연구윤리의 역사를 통해 현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연구행위의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연구의 설계, 수행 및 발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GRP(바람직한 연구수행, good research practice)의 표준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셋째, 구체적인 이익의 갈등 사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연구 윤리에서의 도덕적 감수성과 분별력, 논리적 추론력을 함양한다. 넷째, 자연과학 및 공학분야의 연구윤리뿐 아니라 인문사회계열에서의 연구 윤리를 사례중심으로 이해한다.


 


[신규개설]


 



M2888.000700 과학기술학의 이해 (담당교수 홍성욱, 화 14:00~16:50, 500-L309)


이 수업은 과학기술학의 주요 성과와 쟁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과학과 기술의 사회적 구성, 기술과학의 네트워크, 기술 결정론과 기술 시스템, 과학에서의 재현, 과학기술과 여성주의,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의 이해,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과학에서의 리더십, GMO, 기후변화, 에너지 문제,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 참여 등을 포함한다. 본 수업은 과학기술학 연계전공 학생들을 위한 전공 기초 수업이지만, 인문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수강을 권장한다.


M2888.000800 미래 에너지 시스템과 과학정책 (담당교수 : 박상욱, 월/수 12:30~13:45), 500-L309)


이 과목은 화석연료 기반의 기존 에너지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대체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대해 다룬다.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의 특징과 요건에 대해 조망하고, 시스템 전환을 준비하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최신 동향과 주요 이론을 알아보고, 수소경제,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자동차 등 가능한 대안과 과제들을 고찰한다. 이 과목은 에너지시스템에 관한 과학기술 지식과 과학기술학(STS), 그리고 과학정책을 넘나드는 융합을 지향하며, 수강생들이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서 필수적인 지식을 갖출 뿐 아니라 실천적 지식인으로서의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수업의 강의 계획서를 참고바랍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