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2021학년도 1학기 연계전공 개설과목 안내

작성자
assistant
작성일
2021-02-26
조회
1721
M2888.000100 과학기술정책 (담당교수 : 박상욱, 월/수 12:30~13:45, 500-L308)


 


최근 국가혁신체제(NIS, national innovation system)에 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기초학문으로서의 과학기술을 육성하는 방안과 산업정책을 연계시키는 접점에 위치한 과학기술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과학기술을 부흥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국가혁신체제가 가지는 특성을 알아본다. 아울러 애버나시-어터백이 주장한 기술변화와 혁신전략의 내용과, 최근 크리스텐슨이 주장한 파괴적혁신, 그리고 고(故) 김인수 박사가 주장한 후발국의 기술혁신 궤적이론 등을 중심으로 한국의 상황에 맞는 과학기술정책이 어떠한 것인가를 함께 논의해 보도록 한다. 과학기술혁신정책이라는 분야 자체가 새롭게 등장하는 영역이고 세계적으로도 아직 정립되지 않은 분야이다. 따라서 우리의 논의는 기존의 연구결과 학습을 넘어서, 선진국을 추격하던 단계에서 벗어나 탈추격 레짐(post-catchup regime)에 진입한 한국의 상황에 맞는 바람직한 과학기술정책이 무엇인가에 대해 토의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 것이다.


 


M2888.000200 과학기술과 젠더 (담당교수 : 임소연, 수 14:00~16:50, 500-L308)


 


이 수업은 과학기술학 연계 전공을 선택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과 젠더에 대한 이론과 현황을 개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수업에서 과학기술은 여성억압적이거나 여성배타적인 것으로 규정되기 보다는 젠더 정체성/젠더 구조/젠더 상징이라는 세 가지 차원의 젠더와 맺는 상호 관계 속에서 논의됨으로써 과학기술과 젠더라는 주제에 대한 역동적이고 다층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교육, 소비, 대중 문학, 한국 과학기술계 등의 현장감있는 사례와 함께, 생명의료기술 및 정보통신기술,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담론 등 현대 사회에서 이슈가 되는 과학기술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과학기술과 젠더가 만들어지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M2888.000400 과학커뮤니케이션 (담당교수 : 문지호, 목 14:00~16:50, 025-109)


 


이 과목은 과학언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이 실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어, 과학과 그 응용분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아주 많다. 그러나 시민 스스로 과학 분야의 새로운 변화나 진보를 알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언론이다. 과학이 정치, 경제, 사회 등 다른 분야와 구별되는 차이 중 하나는 재연성이다. 이는 예측 가능성과도 관련이 있다. 한 과학자의 주장은 다른 과학자의 재연 또는 검증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처럼 과학이 여타 분야와 다른 만큼, 과학언론에 대한 요구도 차이점이 있다. 이 과목을 통해서 과학언론의 특징 및 과학언론 연구의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후반부에서는 과학, 기술과 관련된 지식의 효과적인 전달에 대해, 특히 21세기에 떠오르는 새로운 매체와 테크놀로지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뉴스란 무엇이며, 이를 전문으로 하는 기자란 무엇인가? 일반기자와 구분되는 과학기자의 차이는 무엇인지 고찰한 후, 실제 취재와 작문을 통해 이를 실습해 볼 것이다.


 


M2888.000600 한국현대과학기술발전사 (담당교수 : 홍성욱, 화/목 11:00~12:15, 025-109)


 


이 강의는 개항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 사회의 과학기술의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현대 과학기술의 역사적 흐름과 쟁점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항기부터 1950년대까지 시기별로 다루고 이후 시기는 주제별로 구별하여 살펴 볼 것이며, 북한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도 한 주를 할애한다. 강의 주제로는 이승만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1960년대 과학기술의 중흥, 중화학공업과 새로운 기술 개발, 전국민의 과학화 운동, 반도체와 CDMA 개발, 생명공학의 육성 등이 포함된다. 이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은 한국 과학기술의 제반 성격을 파악하고 남북한의 비교연구를 통해 과학기술과 사회체제의 상호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신규 개설]


 


M2888.000900 생명과학과 사회 (담당교수 : 이두갑, 화 13:00~14:50, 025-109)


 


본 강좌는 현대 생명과학의 발전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특히 20세기 후반 생물학에서 나타난 “분자혁명”(molecular revolution)에 초점을 두고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신경과학 등과 같은 분야에서의 나타난 혁명적 변화들과 그 사회적 함의들을 다룰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대 생명과학의 문화적, 사회적, 정책적 이슈들을 다룰 것이며, 생명의 상업화와 사유화, 생명윤리와 같은 법적, 정책적 이슈를 포함하여 변화하는 생명과학자, 생의학자의 정체성과 그 역할 또한 다룰 것이다. 강의에서는 첨단 생명과학과 의학의 최전선에 있는 외부 강연자들을 초청하여 생명과학과 사회의 관련에 대한 강연과 토론 시간도 가질 것이다. 이 강의는 자연과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생물학, 생의학의 사회적 역할과 영향에 대해 관심있는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