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2022학년도 1학기 과학사 및 STS 학부세미나 개설 안내

작성자
구재령
작성일
2022-04-28
조회
1661



2022학년도 1학기 서울대학교 과학기술학 연계전공 학부생 세미나 안내






모집 대상과학기술학 연계전공 이수자를 포함하여 과학기술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


담당 조교: 최석현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박사과정, sokionchoi@snu.ac.kr) 


시간세미나 참여 신청자들의 일정을 고려하여 결정


장소온라인 플랫폼(zoom) ─ 세미나 참여자들에게 이메일로 접속 링크 제공






세미나 참여 의사가 있는 분들은 51일까지 담당 조교 이메일로 신청 부탁드립니다. 신청 시 1 이름, 2 소속, 3 일주일 중 참여가 절대로 불가능한 시간을 써서 보내주십시오.


이번 학기 서울대학교 과학기술학 연계전공에서 연계전공을 이수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를 개설합니다. 일차적으로는 연계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그 외에도 과학기술학 관련 주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모든 분을 환영합니다. 본 세미나는 학부 연계전공 교과목에서 직접 접해보기 어려운 과학기술학 연구 문헌들을 읽고 토론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과학기술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세미나는 발제 없이 조교의 주도하에 토론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참여자들은 매주 주어진 문헌을 미리 읽고 와서 모르는 점을 질문하거나 토론에 참여하면 됩니다. 이 세미나에서는 여러분께 학부 강의만으로는 접하기 어려운 과학기술학 학술 문헌을 직접 읽어보고, 시중에 나와 있는 책만으로는 알기 쉽지 않은 최신 경향의 과학기술학 연구 문헌을 직접 접해볼 기회를 제공하려 합니다.


세미나는 총 12주간 진행됩니다. 세미나 일정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먼저, 1주차에서 6주차까지는 과학학의 기초를 이루는 핵심 이론 및 방법론을 톺아봅니다. 다음으로 7주차에서 10주차까지는 최근의 영어권 과학학 연구 문헌들을 읽어보면서 과학학 연구의 최신 경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마지막으로 11주차와 12주차는 지금, 여기즉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을 다룬 연구들을 살펴봅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세미나 구성원 모두에게 과학학에 대해서는 물론 자신의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나가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 이 세미나는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학부 세미나와 함께 진행됩니다.


 


일정 및 읽기 자료 목록


1(5/2~5/8) ― 과학자사회와 사회 속의 과학
박희제
,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한국과학기술학회 편 『과학기술학의 세계:


과학기술과 사회를 이해하기』 (휴머니스트, 2014), 2754.
스티븐 터너, 김명진 역, 「쿤 이전의 과학에 대한 사회적 연구」, 에드워드 J. 해킷·올가


암스테르담스카·마이클 린치·주디 와츠먼 편, 『과학기술학 편람 1(아카넷, 2019), 70121.








2(5/9~5/15) ― 과학혁명의 구조
토머스 쿤
, 김명자·홍성욱 역,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 2013), 73128쪽 및 209274(25장 및


1012).


3(5/16~5/22) ─ 과학 지식의 사회적 구성
홍성욱
, 「초기 사회구성주의와 과학철학의 관계에 대한 고찰 (1): 패러다임으로서의 쿤」,


『과학철학』 172(2014): 1343.
해리 콜린스·트레버 핀치, 이충형 역, 『골렘: 과학의 뒷골목』 (새물결, 2005), 167198쪽 및


251269(5장 및 결론).


4(5/30~6/5) ─ 페미니스트 인식론
에블린 팍스 켈러
, 오조영란 역, 「과학과 성 연구」, 오조영란·홍성욱 편,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본 과학·기술·의료』 (창작과비평사, 1999), 4968.
도나 해러웨이, 황희숙 역, 「사이보그 선언: 20세기 후반의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주의 페미니즘」,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책세상, 2019), 15112.


5(5/23~5/29)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연결망 이론
아네르스 블록
·토르벤 엘고르 옌센, 황장진 역, 『처음 읽는 브뤼노 라투르: 하이브리드 세계의


하이브리드 사상』 (사월의책, 2017), 59106(2).
브뤼노 라투르, 장하원·홍성욱 역, 「순환하는 지시체: 아마존 밀림에서 흙 표본을 추출하다」,


『판도라의 희망: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휴머니스트, 2018), 61136.


6(6/6~6/12) ― 존재론적 전환과 신유물론
임소연
,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안-사이에서 몸과


함께, 『과학기술학연구』 193(2019): 167200.
도나 해러웨이, 황희숙 역, 「반려종 선언: , 사람, 그리고 소중한 타자성」, 『해러웨이 선언문』


(책세상, 2019), 113246.
6/13~6/19 학부 기말시험 기간 휴강


7(6/20~6/26) ― 생명과 자본
Michelle Murphy, The Economization of Life (Duke University Press, 2017), pp. 59109


(Chapters 59).
8(6/27~7/3) ― 데이터와 권력


Kate Crawford, Atlas of AI (Yale University Press, 2021), pp. 89149 (Chapters 3 and 4).


9(7/4~7/10) ― 전쟁과 기술
Antoine Bousquet, The Eye of War: Military Perception from Telescope to the Dron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8), pp. 41118 (Chapters 2 and 3).








10(7/11~7/17) ─ 환경 문제와 국제 협력
Rachel Emma Rothschild, Poisonous Skies: Acid Rain and the Globalization of Pol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 pp. 83148 (Chapters 46).


11(7/18~7/24) ― 한국의 과학기술 (1) ― 한국 과학기술의 로컬리티
하대청
, 「가족을 위한 몸: 생존기증자 장기이식과 생명가용성의 정치」, 『경제와 사회』 124


(2019): 4478.
김종영·박현준·이광호, 「경계 작업에서 인프라 작업으로: 혼종 한의학과 의료기기 사용 분쟁의


정치」, 『과학기술학연구』 211(2021): 3373.


12(7/25~7/31) ― 한국의 과학기술 (2) ─ 한국 과학기술의 감각과 정동
주윤정
, 「상품에서 생명으로: 가축 살처분 어셈블리지와 인간-동물 관계」, 『농촌사회』 302


(2020): 273307.
김은성, 「풍수와 무속신앙 그리고 풍력발전 갈등」, 『감각과 사물: 한국 사회를 읽는 새로운 코드』


(갈무리, 2022), 129168.